
회사의 대표는 대표인 만큼 일반 직원에 비하면 더 많이 수령하는 편입니다. 문제는 ‘더 많이’의 기준입니다. 대표이사라면 누구나 할 법한 고민입니다. 대표 이사로서 돈을 많이 가져가자니 소득세가 걱정이고, 적게 가져가자니 소득에 대한 불만이 생기게 됩니다 어떻게 해야 법인 대표의 급여를 ‘합리적’으로 책정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법이정한 대표의 월급 매출과 비용 법인세 소득세 비교 세법과 상법에서 정한 ‘대표의 보수’대표 이사 급여에 정답은 없다고 말씀드렸지만, 사실 아주 없는 건 아닙니다. “○○○만 원으로 한다”와 같이 구체적으로 정한 건 아닙니다만, 세법과 상법을 확인해 보면 어느 정도로 정해야 올바른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먼저, 세법에서는 “관련 법령이 정한 적법한 절차에 따..

업무상이 아닌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한 돈인데 실수로 법인카드로 결제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요. 가까운 곳이면 바로 취소하고 변경하여 결제가 가능하나 거리가 너무 멀 경우 이경우도 쉽지 않은 부분입니다. 이럴 경우에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법인카드 처리방법 법인카드 가지급금 법인카드 상여처분 개인적 용도로 사용한 금액을 회사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을까?이런 경우 회사에서는 해당 금액을 *가지급금으로 회계 처리하고, 개인적으로 법인카드를 사용한 직원은 해당 금액을 법인통장에 입금해야 합니다. 가지급금은 업무와 관련 없이 사용된 금액을 의미해요. 법인통장으로 입금이 확인되면 가지급금 항목은 소멸(상계처리)되지만, 만약 입금되지 않았다면 법인세 신고 시 해당 직원의 소득으로 간주..

명식명칭은 산업재해보상보험으로 근로복지공단에서 관리하는 공적 보험으로, 줄여서 산재보험이라고 합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에 대한 사업주의 보상 의무를 구체화한 것입니다. 근로자가 일하다 다쳤을 때 사업주가 근로기준법에 따라 보상하여 주어야 하는데, 이를 보험 처리하는 것인데요. 산재보험 처리 시 인상요인, 회사의 불이익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불이익 보험료 인상? 불이익 개별실적 요율 산재처리 안 하면 불이익 산재처리를 하면 보험료가 인상된다?자동차 사고가 나면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자동차 보험료 인상’입니다. 한번 사고를 경험하신 분은 아시겠지만, 정말 무섭게 보험료가 오릅니다. 그래서 산재보험에 대해서도 비슷하게 생각하시는 것 같아요. ‘산재처리를 하면 산재보험도 당연히 오르겠..

권고사직이란 법적인 용어는 아니며 인사관리상 많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사용자 측에서 근로자에게 퇴직을 권유하고 근로자가 이를 받아들여 사직서를 제출하는 형식을 통해서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권고사직 시 회사에 불이익은 없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권고사직 시 불리한 여론 권고사직 시 정부지원불가 권고사직 시 고용감시대상 1️ 불리한 여론 형성 가능성근로자를 함부로 해고 처리하는 회사를 보면 이런 말이 나옵니다. “요즘 때가 어느 땐데….” 이 말은, 권고사직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다시 이야기하지만, 권고사직도 ‘부드러울 뿐’ 해고와 효과는 동일합니다. 근로자 입장에서는 권고사직도 다소 부당하게 느껴질 수도 있어요. 요즘엔 SNS의 발달로 ‘어느 기업이 말도 없이 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