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해외 거래소 OKX에서 매수한 썬더코어(TT)를 국내 거래소인 빗썸으로 전송하고 싶다면, 지금 알려드리는 순서대로 따라오세요. 입금 주소 확인부터 출금 네트워크 설정, 보안 인증까지 전 과정을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TT 전송, 겁먹지 말고 순서대로 따라가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요즘 썬더코어(TT)처럼 단가가 낮고 유통량이 많은 코인들을 OKX에서 사고, 국내 거래소로 옮기려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빗썸에서 출금하거나 원화 전환을 하기 위해 TT를 전송하려는 경우가 많죠. 그런데 이게 처음 해보는 분들한텐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입금 주소는 어디서 확인하지?', '네트워크는 뭐로 설정해야 하지?', 이런 고민이 들기 마련입니다.
저도 처음엔 겁이 나서 몇 번이고 다시 확인하면서 보냈었죠. 그런데 알고 보면 정말 간단한 절차입니다. 한 번만 제대로 해보면 금방 익숙해지거든요. 오늘은 OKX에서 빗썸으로 TT를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OKX에서 빗썸으로 TT 전송하는 방법
TT 전송 절차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뉩니다. 1단계: 빗썸에서 입금 주소 확인하기 2단계: OKX에서 출금 신청하기 이 두 가지만 확실하게 따라가면 실수 없이 전송할 수 있습니다.
1단계. 빗썸에서 썬더코어(TT) 입금 주소 확인하기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빗썸에서 내가 받을 TT 지갑 주소를 확인하는 일입니다.
1. 빗썸 웹사이트나 앱에 로그인합니다.
2. 상단 메뉴에서 '입출금'으로 들어갑니다.
3. 검색창에 ‘TT’ 혹은 ‘썬더코어’를 입력해 코인을 찾습니다.
4. ‘입금’ 버튼을 클릭하면 TT 전용 입금 주소가 표시됩니다.
5. 주소를 복사해서 메모장 등에 저장해 둡니다. (공백 없이 정확하게 복사하세요)
주의할 점 2가지
네트워크는 반드시 OKX와 빗썸이 공통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TT는 TT 메인넷 또는 OKX 전용 체인에서 지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빗썸에서 어떤 네트워크를 사용하는지 먼저 확인하고 OKX에서 동일하게 설정하세요. 주소는 절대 직접 입력하지 마세요. 무조건 복사해서 붙여넣으셔야 합니다. 한 글자라도 틀리면 코인 돌려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단계. OKX에서 TT 출금 신청하기
입금 주소를 확보했다면, 이제 OKX에서 실제 출금을 진행하면 됩니다.
1. OKX에 로그인하고 ‘Assets(자산)’ 메뉴로 들어갑니다.
2. ‘Withdraw(출금)’ 탭을 선택한 후, 코인 목록에서 TT를 검색해 클릭합니다.
3. 출금 네트워크는 빗썸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반드시 동일하게 설정합니다.
4. 복사해 둔 빗썸 입금 주소를 붙여넣습니다.
5. 출금 수량을 입력하고 수수료 및 최소 출금 가능 수량을 확인합니다.
6. 출금 요청을 클릭한 뒤, 이메일 인증 및 OTP 인증 절차를 완료합니다.
보통 전송은 5~15분 안에 완료됩니다. 다만,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지연이 생길 수 있으니 너무 조급하게 기다릴 필요는 없습니다.
빗썸 입금 주소는 정확하게 복사했는가?
OKX 출금 네트워크는 빗썸과 동일한가?
최소 전송 수량과 수수료는 확인했는가?
보안 인증(OTP, 이메일 인증)은 준비되어 있는가?
여기까지만 잘 따라오셨다면 TT 전송은 거의 완료된 거라고 보셔도 됩니다.
전송할 때 수수료 OKX vs 빗썸 비교
코인 전송할 때 수수료는 무시할 수 없는 포인트입니다. 특히 썬더코어(TT)처럼 단가가 낮은 코인은 수량이 많기 때문에 수수료 수량도 꽤 커질 수 있죠. 이번에는 OKX와 빗썸에서 TT 전송 시 수수료가 얼마나 드는지 구체적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OKX에서 빗썸으로 TT 전송 시 수수료
현재 OKX에서는 TT 출금 시 약 50 TT 수준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TT 시세를 대략 10원으로 가정하면,
50 TT × 10원 = 약 500원
100만 원어치 TT를 보낸다고 하면 약 10만 TT 정도 되니, 수수료 50개는 부담되지 않는 편입니다. 고정 수수료 방식이라 전송 금액이 클수록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빗썸에서 OKX로 TT 전송 시 수수료
빗썸의 TT 출금 수수료는 공식적으로 공개된 수치는 없지만, 대부분 100~150 TT 수준으로 적용됩니다. 보수적으로 100 TT라고 보고 계산해보면,
100 TT × 10원 = 약 1,000원
OKX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셈입니다. 특히 출금 수수료가 수량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 보니 금액이 작을 때는 수수료 비중이 더 커지게 됩니다. 결국 수수료만 놓고 보면 OKX → 빗썸 방향이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OKX와 빗썸의 입출금 정책 비교
수수료 못지않게 중요한 게 입출금 조건입니다. 특히 지원 네트워크와 인증 절차, 최소 출금 수량 같은 정책 차이 때문에 전송 전에 한 번 더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OKX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TT 메인넷 또는 OKX 내부 네트워크
출금 수수료: 약 50 TT
최소 출금 수량: 100 TT 이상
출금 속도: 평균 5~15분, 빠르면 3분 내
보안 절차: OTP, 이메일 인증, Google Authenticator 등
기타: 해외 거래소 특성상 고객센터는 영어로 운영
OKX는 글로벌 거래소답게 처리 속도가 빠른 편이고, 출금 수수료도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다만 문제가 생겼을 때 문의하려면 영어로 진행해야 하니, 미리 관련 가이드를 숙지해두는 게 좋습니다.
빗썸 입출금 정책
지원 네트워크: TT 메인넷 (한정적일 수 있음)
출금 수수료: 100 TT 이상 (변동 가능)
최소 출금 수량: 100 TT 이상
트래블룰: 100만 원 이상 전송 시 상대 지갑 사전 등록 필수
보안 인증: 실명 인증, 휴대폰 인증, OTP, 출금 비밀번호 등
기타: 한글 고객센터 운영, 보안 강화로 인해 출금 지연 발생 가능성 있음
빗썸은 국내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제공하지만, 출금 시 트래블룰이 적용되기 때문에 지갑 등록이 안 되어 있으면 전송이 차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 보내기 전에는 반드시 지갑 등록을 미리 완료해두셔야 합니다.
TT 전송, 네트워크만 맞추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OKX에서 빗썸으로 썬더코어(TT)를 전송하는 과정은 겉보기엔 복잡해 보여도 실제로 해보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중요한 건 딱 두 가지입니다. 첫째, 네트워크를 정확히 맞추는 것. 빗썸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확인한 뒤 OKX에서 동일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둘째, 주소 복사 실수를 방지하는 것. 공백이나 오타가 있으면 전송 실패로 이어질 수 있으니까 반드시 복사+붙여넣기 방식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수수료는 OKX에서 보낼 때가 약 500원 정도로 저렴한 편이고, 빗썸에서 보낼 땐 약 1,000원 정도 나올 수 있어서 비용 측면에서도 OKX → 빗썸 방향이 훨씬 유리합니다. 처음엔 조금 긴장되지만, 한 번만 성공해보면 다음부턴 어렵지 않게 처리할 수 있을 겁니다. 항상 그랬듯이, 차분하게 확인하고 천천히 진행하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OKX에서 빗썸으로 비트코인(BTC)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OKX에서 빗썸으로 비트코인(BTC)을 전송하는 과정은 간단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놓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출금 네트워크를 잘못 설정하면 자산을 잃을 위험이 있으므로 반
umpapa5.bk2080.com
OKX에서 빗썸으로 이더리움(ETH)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OKX에서 빗썸으로 이더리움(ETH)을 전송하는 과정은 단순해 보이지만, 출금 네트워크 설정을 잘못하면 자산을 잃을 수 있습니다. 특히, ERC20 네트워크를 반드시 선택해야 하며, 출금 수수료와 최소
umpapa5.bk2080.com
'제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KX에서 빗썸으로 베이직어텐션토큰(BAT)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5.04.28 |
---|---|
OKX에서 업비트로 이오타(IOTA)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1) | 2025.04.27 |
OKX에서 빗썸으로 네오(NEO)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1) | 2025.04.25 |
OKX에서 빗썸으로 칠리즈(CHZ)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5.04.24 |
OKX에서 빗썸으로 퀀텀(QTUM) 전송하는 가장 쉬운 방법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