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모급여는 출산 및 양육으로 손실되는 소득을 보전하고, 주 양육자의 직접 돌봄이 중요한 아동발달의 특성에 따라 영아기 돌봄을 두텁게 지원하기 위해 부모급여 지급하는 제도인데요. 기존에 지원하는 금액보다 대폭 상향되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2024년 달라지는 부모급여 내용, 신청방법과 사용기간 등에 대해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시행되는 진료비 지원까지 알아보겠습니다. 2024 달라지는 부모급여 기존 만 0~1세는 월 70만 원에서 월 110만 원으로 상향 부모급여는 만 0세~1세 아이가 있다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언제 신청을 해야 하는지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를 낳고 출생 신고를 하면 국가에서 알아서 부모급여 대상자라고 친절하게 안내를 해 준다. 만 0세의 가구는 매달 100만 원씩, 만 1세 ..

육아휴직급여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가진 근로자가 그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남녀 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에 의한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부여받고 소정의 수급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육아휴직기간에 대하여 통상임금의 100분의 80을 육아휴직 급여로 지원하는데 제도인데요. 2024년 내년부터 달라지는 점 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육아휴직 기간 1년 6개월12개월에서 18개월 연장2023년에는 육아휴직 기간이 12개월이었지만 2024년 에도는 저출산문제 지원확대로 18개월로 기간 연장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직도 정확한 날짜가 나오진 않았지만 내년에 시행예정이라고 하니 소식을 기다려 봐야겠는데요. 하지만 18개월이라고 해도 조건이 붙습니다...

프리랜서 분은 대부분 종합소득세 신고만 걱정하시는데요. 하지만 프리랜서 세금신고에서 종합소득세만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이 건강보험료입니다. 대부분의 프리랜서 분들은 세무관리를 받는 것이 아니라 종합소득세 신고 때에만 세무사에게 의뢰를 하다 보니 세무사 사무실에서도 종합소득세 신고만 진행할 뿐 건강보험료에 미치는 영향까지는 설명해주지 않습니다. 오늘은 프리랜서 세금신고가 건강보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강보험의 가입자격 및 부과기준, 부과율가입자격건강보험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나누어지는데, 프리랜서는 회사에 귀속됨이 없이 회사의 업무를 위탁받아 일하는 형태이므로 프리랜서 소득은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건강보험은 지역가입자로 분류됩니다. 부과기준직장가입자는 보수(보수월..

광고를 해서 날리는 돈과 광고해서 쌓이는 돈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광고를 해서 날리는 돈에는 직접적인 광고비 이외에 어떤 부분이 발생되는지 알아보고 광고를 해서 쌓이는 돈이란 어떤 것 어떤 의미를 말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광고해서 날리는 돈앞에서 광고 집행에만 의존하는 마케팅의 형태는 회사에 경제적인 위협을 줄 수도 있고 채널 간의 선순환을 해칠 수도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반복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지만, 이것은 '광고를 해서는 안 된다'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어떻게 광고하느냐에 따라 돈을 계속 써야만 하는 구조가 될 수 있고, 반대로 광고의 효과가 조금씩 쌓여서 나중에는 광고비를 거의 지출하지 않아도 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한 달에 억대로 광고..